본문 바로가기
IT & Internet/TREND & TECH

HAC (Hearing Aid Compatibility)

by juranus 2025. 2. 14.

미국에 출시되는 휴대폰에 강제 적용되는 HAC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청각 장애를 가진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 청각 장애인들의 무선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필요성 증가로 1988년 FCC에서 HAC(보청기 호환성) 인증을 제정하여 보청기와 무선 기기 제조사 등에 적용하고 있음
  ※ FCC CFR 47 Section 20.19: 보청기-휴대폰 간의 전자파 적합성 관련 FCC 규정
  ※ ANSI C63.19 2006/2007: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Methods of Measurement of Compatibilit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Hearing Aids.

보청기 (Hearing Aids) 종류와 규정

 Acoustic Mode

  • Microphone을 사용하여 주변의 모든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 → 주변 잡음까지 함께 증폭 시키는 단점이 있음
    • 단말 제조사는 최소 33%의 단말이 M3 등급 이상을 지원해야 함
    • 통신사는 최소 50%의 단말 또는 8개의 모델이 M3등급 이상을 지원해야 함
    • M Rating(M1 ~ M4): 단말 수화부 부위로 방사되는 Carrier 주파수의 RF Interference 전계/자계 측정 → 신호의 전계/자계 값이 작을 수록 좋음 

HAC_01
[사진출처:  www.hlaabq.com ]

 

Telecoil Mode:

  • Microphone이 꺼진 상태에서 Telecoil-compatible 전화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만을 수신하여 증폭하는 방식으로 미국에서 60%의 보청기에 적용됨 → 주변 잡음이 제거되어 전화 통화 시 비교적 깨끗한 음질 제공
    • 단말 제조사는 최소 2모델 이상 그리고 최소 33%의 단말이 T3 등급 이상 지원해야 함
    • 통신사는 최소 33%의 단말 또는 최소 10개의 모델이 T3 등급 이상 지원해야 함
    • T Rating(T1 ~ T4): 단말의 Receiver에서 발생하는 Audio 주파수 대역의 자계신호를 측정 → 자계 신호의 크기가 클 수록 좋음

부품 및 구현

  • 최근 확인한 바에 따르면, 요즘 휴대폰의 리시버(수화기)에는 HAC를 위한 코일 등이 탑재되어 있음. 따라서 북미에 출시하는 제품이건 유럽이나 다른 나라에 출시하는 모델이건 H/W적으로 다를 이유는 없음.
  • 다만 HAC 규격 시험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 때 SW적으로 파라미터를 수정함. 때로는 노이즈 감소 및 성능 확보를 위해 아트웍이나 도전 테이프 부착 등을 하는 경우도 있음

 

반응형